한국임상정신분석연구소ICP 2025년 2학기 수강 안내
■ 수강 관련 유의사항
▶ 수련의 효율성과 여러 고려사항들을 염두해, ICP연구소의 모든 교육과정은 당분간 각 과목 및 과정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현장참여수업 (연구소 강의실에서 진행) 2. ZOOM수업 3. Hybrid수업 (1, 2 두 가지를 동시에 진행) 각 과목별 진행방법을 잘 확인하셔서 수업참여에 착오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 ZOOM 수업시 '비디오켜기 on 설정'해 주셔야 하고, 수업 중 화면을 끄면 출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 개인 정보보호법에 의해 수업 시 녹화나 녹음 및 동영상 촬영을 금지합니다. ▶ 모든 강의관련 자료들은 각 수강생들이 PEP-WEB을 통해 스스로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PEP-WEB에서 구할 수 없는 자료들인 경우, 각 담당교수님께서 적절한 방법을 안내해 주실 것입니다. ▶ 수강문의: Tel. 02-743-4313 / icpkorea2020@gmail.com
■ 수강신청방법
▶ 홈페이지(https://icp-korea.net)에서 회원가입을 하시고, 메인화면 우측의 수강신청 배너 클릭 또는 정신분석수련>수강신청을 클릭하셔서 원하시는 과목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 학사관리가 홈페이지 기능으로 통합됨에 따라, 수강신청은 신청자 본인이 자신의 아이디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니 반드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공지사항들을 꼼꼼히 확인한 후 직접 수강신청 해주시기 바랍니다.
■ 수강일정 및 수강료 납부
▶ 학기진행 : 2025년 5월 9일(금)~ 7월 18일(금) ▶ 수강신청기간 : 2025년 4월 21일(월)~ 5월 6일(화) (원활한 수업개설 과정을 위해 수강신청 기간을 반드시 지켜주시기 바라며, 수강료 납부는 강의 시작 전날까지 완료 혹은 분납시작 해주시기 바랍니다.)
▶ 수강료 납부 방법 ①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결제 - 가상계좌 입금하신 분은 사무국으로 연락주셔야 결제확인이 되며 현금영수증을 발행해드릴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결제진행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사무국으로 연락주시면 카드결제 링크를 카톡으로 보내드리니 다시 결제 시도하시면 됩니다. ② 현장에서 오프라인 카드결제 ③ 계좌이체 - 수강료 계좌: 하나은행 231-910018-94904 (예금주: 한국임상정신분석연구소아이씨피(주)) - 입금자명을 수강자와 동일하게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 수강 취소 시 환불 원칙 - 개강 전 취소 : 전액 환불 - 개강 후 강의 1번 진행 후 취소 : 80%환불 - 개강 후 강의 2번 이상 진행 후 취소 : 환불 없음.
▶ 수강료 납부시 회원 구분 안내 - 수련생: ICP의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련생의 4가지 수련의무(이론수업, 개인교육분석, 개인임상감독, 집단임상감독TSS)를 다하며 수련을 진행하고 있는 사람. 매학기 마무리 후, 직전학기의 수련내역에 따라 수련생 status가 갱신됨. - 수련생 이외의 정회원: ICP의 정신분석 수련과정에 입학원서를 제출하고 입학승인을 얻은 ICP의 입학생, Step1,2,3 각 단계에서 수련을 진행 중인 휴학생 등의 수련자들, 이외 각 단계 수료자 및 기타 수련자들로서 ICP의 입학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 - 준회원 및 일반인 : 정신분석과 ICP의 세미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회원 이외의 모든 사람 - 청강생 : 정식 수련 학점을 취득하지 않고, 수업에 함께 참여하고 싶은 사람 (입학하지 않았지만 관심있는 분들, 졸업 및 수료생 재수강 등)
▶ 청강제도의 수강 가능 대상 - 정회원 중 이미 들었던 과목을 학점 이수와 상관없이 다시 듣는 경우 - ICP입학 과정을 거쳐 입학생이 되지 않은 분들로서 수련 여부 혹은 학점이수 여부와 관련 없이 개인적인 관심으로 정신분석 이론에 대한 공부를 원하시는 분(반드시 청강 수업료 확인)
▶청강제도 선택 시 수강 조건 및 학생으로서의 의무 - 수강료는 매 학기 공지되는 학기 안내에 표시된 바에 따름. - 2023년 2월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학칙에 따라, 청강한 수업을 차후에 수련학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학기 기말과제를 꼭 제출기한 내 제출해야 함. 기말과제 미제출시에는 차후 수련학점으로 사용할 수 없음. 차후에 수련학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말과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됨. 2023년 2월부터 적용되는 학제변경 이전에 수강한 청강과목의 경우에는 변경이전의 학칙을 적용함. - 차후 청강 과목 수강 내역을 수련학점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청강과목 수강시 기말과제 제출여부를 사무국과 확인한 후, 할인받은 만큼의 수업료를 연구소에 완납확인하는 것으로 학점인정 가능 - 청강생도 엄연히 수업에 참여하는 일원으로서, 청강제도의 유예 항목(수업료 일부할인 및 향후 수련학점으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 기말 과제 제출 면제)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수강생들이 가지는 수업 안에서의 의무(출석, 발제, 토론 참여, 매시간 일지(log) 내기, 읽기 과제 읽기 등)는 동일하게 수행해야 함.
■ 개설강좌
1. TSS_CCIS_202505_집단임상감독 및 CCIS (Cross-Cultural International Supervision) Treatment Service Supervision and CCIS ( Ernesto Mujica, 허 준, 0학점, 10회기, ZOOM )
일정 : 2025년 5월 13일(화)~7월 15일(화) 매주 화 오전 10:00-12:00 대상 : ICP 3단계 수련생 및 2단계 수련생 이상의 모든 정회원 수강료 : 900,000(수련생), 1,100,000원(수련생 이외의 정회원) (위 TSS_CCIS의 수강료는 참여인원 7인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참여인원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에 따라 수강료가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강신청 시 우선 수강신청을 해 주시고, 수업료 납부는 수강신청 기간이 완료된 후 연구소의 추가 안내에 따라 진행바랍니다)
참조 : 정신분석 수련에서 필요한 두 줄기는 이론 공부와 임상 수련이라고 할 수 있고, 임상 수련에서 중요한 것은 교육분석가와 함께 임상가 스스로를 성찰하는 자기교육분석과, 다양한 내담자들을 만나는 경험,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임상감독을 심도 있게 지속적으로 받는 것입니다.
또한, 다른 이의 임상을 귀기울여 듣고 그것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경험하며 피드백하고, 서로에게 느껴진 것들을 통해 치료관계에 대한 실제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함께 조명해가는 작업인 집단임상감독(TSS)은 위에서 언급한 모든 수련의 요소들이 한데 모여 있는 수련과정의 종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이번학기의 이 TSS는 정신분석가과정 최종졸업을 위한 CCIS 프로그램(ICP학제에 관한 지침 1.4.3.3 참조)을 겸하여 열리는 것으로서, 3단계 수련생들은 필히 참여하시기 바라며, 2단계 이상에서 수련 중이신 분들 및 각 단계 수료생, ICP의 정신분석가 졸업자 및 교수진들도 참여를 환영합니다.
2. C301. 현대 집단 정신분석 이론과 기법 Modern Psychoanalytic Group Theory and Technique ( 백준혁, 2학점, 10회기, ZOOM )
일정 : 2025년 5월 13일(화)~7월 15일(화) 매주 화 오후 7:00-9:00 대상 : ICP 모든 수련생 및 정회원, 관심있는 모든 사람 수강료 : 450,000(수련생), 500,000원(수련생 이외의 정회원), 550,000원(준회원 및 관심있는 모든 사람), 400,000원(청강)
참조 : 정신분석은 개인뿐 아니라 부부, 가족, 집단의 양태로도 작업하면서 실시간으로 벌어지는 전이와 무의식적 상호작용의 세계들을 다루어 왔습니다. 이 수업에서는 정신분석이 집단세션의 양태로 작업하는 것의 역사, 효용성,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그것의 실제 집단분석의 다양한 양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집단을 통해 그것을 다룸에 있어 어떤 전략과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배웁니다.
특히, 이번 수업은 집단정신분석에 관심을 가지고 기존의 연구소 정신분석 수련에 더해 집단 정신분석으로도 뉴욕에서 별도의 자격을 취득하신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가 백준혁 교수님과 함께 정신분석이 집단작업과 그 경험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는지 전문적이고 살아있는 임상적 감각이 묻어나는 배움을 경험하게 되실 것입니다.
3단계 필수과목이지만, 수련과정에서 4년에 한 번 열릴 수 있을 수업이니, 2단계 수련생 여러분들도 되도록 수강하시고, 매 학기 열리는 집단교육분석에 아직 참여하지 않으시는 분들 포함 관심 있는 모든 분들도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3. B106. 정신분석적 사례이해와 글쓰기 Psychoanalytic case understanding and writing ( 허 준, 2학점, 10회기, ZOOM )
일정 : 2025년 5월 13일(화)~7월 15일(화) 매주 화 오후 9:10-11:10 대상 : ICP 모든 수련생 및 정회원, 관심있는 모든 사람 수강료 : 450,000(수련생), 500,000원(수련생 이외의 정회원), 550,000원(준회원 및 관심있는 모든 사람), 400,000원(청강)
참조 : 정신분석 임상현장은 생생한 관계경험과 이 과정에서 내적으로 상기되는 다채로운 환상, 충동, 정서, 기억, 생각, 신체감각과 반응, 꿈, 행동 등이 실시간으로 가득한 순간들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발생하고 경험되고 감지 및 포착되고 자각되어, 우리들의 의식 세계 혹은 중심적 자기 네트워크 속에서 소화, 이해, 교류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일입니다.
이 과목에서는 생생하고 다채로운, 보이지 않는 정신경험의 세계가 자신을 드러내는 수많은 요소들을 정신분석 임상가가 어떻게 관찰하고 정돈하여 이해 가능하고 언어적으로 교류가능한 형태로 표상해 내는지, 또한 그것을 어떻게 글로 작성해 전문적 소통과 연구의 맥락에 적합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지 그 과정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기초과목이므로 입학생 및 모든 1단계 수련생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반드시 수강하시기 바라며, 관련 주제에 관한 함께 공부하고 연습하고 고민해보고자 하는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4. GA_202505_집단교육분석 Group Analysis ( 허 준, 0학점, 10회기, 현장참여 )
일정 : 2025년 5월 14일(수)~7월 16일(수) 매주 수 오후 8:30-10:00 대상 : ICP 모든 수련생 및 정회원, 관심있는 모든 사람 ( 단, 이번학기의 이 집단은 집단 전체 구성에 있어 12인을 정원으로 하며, 초과 신청인원이 발생할 경우, 지난 학기까지의 기존 집단참여자에게 우선 참여의 기회를 드립니다. 정원초과로 집단에 참여하실 수 없는 분이 5인 이상일 경우, 추가적으로 다른 집단이 개설될 예정이며, 초과인원이 4인 이하일 경우 이 초과신청자 분들께서는 다음학기 집단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수강료 : 350,000원(수련생), 400,000원(정회원), 500,000원(준회원 및 관심있는 모든 사람) 참조 : 집단원들이 리더 분석가와 함께하는 집단정신분석은 구성원들간의 다양한 역동과 상호작용 및 영향들을 실시간으로 체험, 관찰, 교류하며 다양한 정신분석적 경험을 살아내는 과정입니다. 정신분석 집단상담 경험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집단정신분석은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건강하던 건강하지 않던 모든 인간교류 속의 의식적, 무의식적 경험을 내담자와 함께 견디며 살아내는 역량을 중요시하는 ICP연구소의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인 경험이므로, 수련생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꼭 참여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5. S301. 1920년 이전의 프로이트 Freud before 1920 ( 최병건, 2학점, 10회기, ZOOM )
일정 : 2025년 5월 9일(금)~7월 18일(금) 매주 금 오후 7:00-9:00 대상 : ICP 모든 수련생 및 정회원, 관심 있는 모든 사람 수강료 : 450,000(수련생), 500,000원(수련생 이외의 정회원), 550,000원(준회원 및 관심있는 모든 사람), 400,000원(청강)
참조 :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창시자이자 정신분석 너머의 영역에서도 인간이 현대사회와 인간을 이해하는 데 있어 혁명적 기여를 한 사람일 것입니다. 이 과목에서는 정신분석이 정신분석이 되기 시작하는 과정에서, 프로이트가 발견하고 씨름하고 천착했던 이론적 임상적 주제들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생겨난 정신분석이라는 세계를 만나봅니다.
프로이트 이후 정신분석 안에서 다양한 관점의 이론들이 분화되어 나왔으나, 모든 정신분석 이론과 임상실천들은 사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대한 계승, 확장, 갱신, 대안적 모색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입니다. 그러므로, 프로이트와 그의 이론을 더 깊이 있게, 다양한 관점에서, 그 생성과 변천을 탐색하고 음미해 보는 것은 모든 정신분석 공부의 뿌리라 하겠습니다.
특히, 이번 학기 과목을 담당해 주실 최병건 교수님은 정신분석가이자 정신과 의사로서 동시대에도 프로이트의 관점이 어떻게 여전히 임상적으로 가치있고 유용한지 직접 임상을 통해 실천해 가고 계시는 분으로서, 프로이트를 많이들 언급하고 살펴보긴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프로이트를 옛날 사람 취급하거나 비판하기 위해 대강 인용해 살펴보는 일이 많은 이 시대에, 이 강의는 프로이트를 누구보다 프로이트 답게 프로이트 자신이 어떤 흐름과 생각, 그리고 임상적 고민하에서 자신의 이론을 구축하고 정신분석을 설계해 갔던 것인지 정확히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3단계 필수과목으로 4년에 한번씩 열리는 과목이므로, 3단계 수련 중이거나 곧 3단계에 진입할 것을 계획 중인 모든 분들은 반드시 수강하시기 바라며, 관심있는 모든 분들의 수강도 환영합니다.
6. TSS_202505_집단임상감독 Treatment Service Supervision ( 박혜원, 0학점, 10회기, ZOOM )
일정 : 2025년 5월 9일(금)~7월 18일(금) 매주 금 오후 9:10- 10:40 대상 : ICP 수련생 및 모든 정회원 수강료 : 350,000(수련생), 400,000원(수련생 이외의 정회원)
참조 : 정신분석 수련에서 필요한 두 줄기는 이론 공부와 임상 수련이라고 할 수 있고, 임상 수련에서 중요한 것은 교육분석가와 함께 임상가 스스로를 성찰하는 자기교육분석과, 다양한 내담자들을 만나는 경험,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임상감독을 심도 있게 지속적으로 받는 것입니다. 내담자들을 경험하는 것이 부족한 것도 임상의 깊이에 영향을 미치지만, 아무리 많은 시간 내담자들을 만난다고 해도, 사람의 마음의 깊은 곳에서 어떤 것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임상가와 내담자 사이에서 무슨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그 임상의 깊이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분석 경험과 함께 꼼꼼한 임상감독을 통해 정신분석적 이해가 쌓여가면서 수련생 마음의 임상적 역량이 조금씩 늘어나고 더 세분화되어 분석적 임상작업이 더 풍성하고 깊어질 것입니다.
또한, 다른 이의 임상을 귀기울여 듣고 그것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경험하며 피드백하고, 서로에게 느껴진 것들을 통해 치료관계에 대한 실제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함께 조명해가는 작업인 집단임상감독(TSS)은 위에서 언급한 모든 수련의 요소들이 한데 모여 있는 수련과정의 종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이번 학기의 이 TSS는 임상사례들에 대해 좀 더 기초적인 정신분석적 태도와 기법, 관리 등에 대해 더 집중해서 다루게 될 것입니다. 이를 다시 한번 돌아보고자 하는 모든 분들의 수강을 환영하고, 입학생, 1단계 수련생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필히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지금 진행중인 사례가 없는 분들도 동료의 사례를 듣고 리더와 동료들이 어떻게 사례를 이해하고 다루어 가는지를 배우는 것이 집단임상감독의 더 중요한 초점이므로 정신분석적으로 다루는 사례가 아직 없을 수록 더 필히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임상정신분석연구소ICP Curriculum Committee 위원장 허 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