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와 현대 꿈관점·꿈기법의 각기 다른 임상 효용성> 안녕하세요. 한국정신분석 꿈해석연구회입니다.
Freud와 현대정신분석 꿈 이론-기법을 3년간 연마해 꿈 해석 상담 세팅에서 임상 효능을 직접 확인한 분들이 ‘꿈을 통한 다중 무의식 접속 비법’을 참가한 분들께 전합니다. 일시: 2025년 5월 24일(토) 오전 9:00- 13:00 장소: 온라인 zoom 실시 일정:
09:00- 09:05 개회사 09:05- 09:35 기조발제 - 프로이트와 현대 꿈관점 꿈기법의 각기 다른 임상 효용성 - 이창재 꿈교육분석가(프로이트 정신분석교육원 원장)
09:35-10:10 꿈사례 발표 1 Freud 꿈관점. 기법 - 이영선 꿈해석상담사(하담심리상담센터장)
- 소감 및 제언: 김영순(꿈해석상담사 1급)
10:20-10:55 꿈사례 발표 2 현대 꿈관점Ⅰ - 정보라 박사(참빛미술치료연구소 소장)
- 소감 및 제언: 문현영박사(국제발달심리학습센터 소장)
10:55- 11:30 꿈사례 발표 3 현재 꿈관점Ⅱ - 이소연 꿈해석전문가(미국 공인 전문상담사 및 수퍼바이저)
- 소감 및 제언: 사공서윤박사(필링굿 심리상담센터장)
꿈 사례 발표 1: 유년기 무의식의 '그것(x)', 꿈으로 마주하다. 3년간 학습- 훈습한 프로이디안 꿈해석 이론- 기법을 통해 나의 억압된 무의식을 대면 - 재해석 체험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꿈들의 변화 양태를 소개. 꿈에 대한 자기분석- 개인 분석 -집단 꿈 분석 사례 꿈 사례 발표 2: '대상 상실 외상'으로 인해 해리된 무의식에 대한 꿈의 치유 기능에서 본 자기 분석 내 생애 초기에 침범적 환경과 엄마 없음의 고통, 그리고 청소년기 엄마와 언니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한 대상상실 외상은 ‘해리’되어 무의식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꿈과 꿈해석은 생존을 위해 해리시킨 각각의 외상을 분리된 파편으로 남겨두지 않고, 애도하고 통합하여 몽자의 자아를 회복시키는 치유 기능을 선물해 준다. 그 각성-회복 과정을 클라인, 비온, 코헛 꿈 관점과 집단 꿈 분석 사례 체험으로 전한다. 꿈 사례 발표 3: '고착된 표상'의 재구성: 꿈을 통한 상호주관적 자기 경험 어린 시절 형성된 왜곡된 엄마표상이 3년 꿈 분석 학습-훈습-체험 과정에서 꿈을 통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현대 정신분석 관점에서 탐구한다. Kohut, Fosshage, Stolorow의 이론을 바탕으로 상호주관적 관계 속에서 나의 자기 경험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다룬다. 4. 신청 안내 바로가기▶ https://forms.gle/iiuNoXWH6DSPUP1X7 ● 기간: 2025년 4월 22일 (화) ~ 2025년 5 월 21일 (수) 17:00 까지 ● 참가비: 회원- 2만원/ 비회원- 4만원 (참가비 실시간 입금 확인은 안됩니다) ● 방법: 입금 계좌 : 우리은행 1005-404-551256 예금주: 한국정신분석꿈해석연구회 - 신청자 본인 이름으로 입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사전 등록이라 함은 신청 후 결제까지 완료된 것을 의미함. 5. 환불 ●신청: 5월 21일(수) 오후 5시까지 신청(신청 기간이 지나면 환불이 불가 합니다) ●신청 방법: (환불 계좌 기재 필수, 금융 수수료 발생 시 수수료를 제외한 전액 환불) ●환불 기간: 행사 완료 후 2주 이내에 환불 6. 문의: dreamfreud1@naver.com |